김기태의 초판본 이야기 / 김기태 / 새라의숲 / 2022


시, 소설, 수필, 서간…
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글이 있고 지금도 도처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글이 탄생한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듣고 직접 겪으며 통과해 온 시대를 자기 각자의 지식과 감성으로 해석한 글을 남겨 왔다.
이렇게 태어난 글들은 출판사의 편집자와 장정가를 만나 정갈하게 교정된 한 권의 책으로 완성되어 서점을 거쳐 세상에 나오고, 독자 대중을 만나 서로 교감하는 가운데 점점 더 강한 생명력을 얻어 마침내 수십 수백 년을 살며 다음 세대에 계속해서 지난 세대를 증언하게 된다.

이 책은 한국의 20세기, 즉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 사이에 쓰여지고 출판된 문학책 15권을 가려 뽑아 이들의 초판본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작품의 집필과 초간 출판 과정,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풍경을 고풍스런 어투로 전하고 있다.

엄혹한 일제강점기 한복판에서 가난에 시달리면서도 한국 고유의 정서와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지키고자 했던 시인 소월과 영랑의 마음을,
도시화와 산업화가 정신없이 몰아치던 격동의 시대를 혼란하고도 고독하게, 또 처절하게 살았던 개인들의 내면을 감각적인 소설로 기록한 젊은 작가들의 마음을,
숨막히는 독재정권 치하의 모순 가득한 사회를 바라보며 ‘사람은 진정으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를 이야기한 당시 시대의 어른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품은 열다섯 책들의 초판본 이야기가 여기 있다.

표지, 목차, 간기면까지 사진으로 훑어보며 이들의 출판과정과 시대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이 책을 어느 분야로 분류할지 묻는다면 대중이 읽기 쉽게 쓴 서지학 또는 출판학 도서로 분류하면 될 듯하다.

by 해피의서재 2024. 2. 13. 18:36

1974년 민음사에서 발간된 문화평론가 김병익의 평론집 <지성과 반지성>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온다.

오늘의 우리 지식 사회에 있어 가장 우울한 현상은 압도적인 ‘지식기능인‘의 수와 힘에 비해 ’지성인‘은 너무나 적고 미력하다는 점이다. 물론 지식계층의 인구는 많다. 대학교수, 학자, 언론인, 작가, 예술인 등 마땅히 지성의 위력에 의하여 존경받아야 할 지식인은 도처에 있다. 그러나 계층이, 입장이 지식인의 면모를 지녔다 해서 결코 지성인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나는 현대 한국의 문학계와 지성계에 길이 남을 기념비적 도서들의 출판 내력을 소개한 서지학 도서 <김기태의 초판본 이야기>(2022)에서 이 문장을 접했다. 저자 김기태 교수는 이 문장을 인용하면서 ‘(이와) 같은 (김병익) 선생의 판단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21세기 지식인들 또한 얼마나 될 것인가’라고 한탄했다. 나 또한 같은 생각이다.

by 해피의서재 2024. 2. 11. 23:17

아래의 글은 1961년 2월 5일 정향사에서 발행된 최인훈의 소설 <광장> 초판본에 수록된 ‘저자의 말’에 이은 추기(推記) 일부를 옮겨 적은 것으로, <김기태의 초판본 이야기> (김기태 지음, 새라의숲, 2022) 92~93쪽에서 발췌한 글임을 알립니다.

“인간은 광장에 나서지 않고는 살지 못한다. 표범의 가죽으로 만든 징이 울리는 원시인의 광장으로부터 한 사회에 살면서 끝내 동료인 줄도 모르고 생활하는 현대적 산업구조의 미궁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시공을 달리 하는 수많은 광장이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인간은 밀실로 물러서지 않고는 살지 못하는 동물이다. 혈거인의 동굴로부터 정신병원의 격리실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공간을 달리 하는 수많은 밀실이 있다.

사람들이 자기의 밀실로부터 광장으로 나오는 골목은 저마다 다르다. 광장에 이르는 골목은 무수히 많다. 그곳에 이르는 길에서 거상의 자결을 목도한 사람도 있고 민들레 씨앗의 행방을 쫓으면서 온 사람도 있다. 그가 밟아 온 길은 그처럼 갖가지다. 어느 사람의 노정이 더 훌륭한가라느니 하는 소리는 아주 당치 않다. 거상의 자결을 다만 덩치 큰 구경거리로 밖에는 느끼지 못한 바보도 있을 것이며, 봄 들판에 부유하는 민들레 씨앗 속에 영원을 본 사람도 있다. 어떤 경로로 광장에 이르렀건 그 경로는 문제 될 것이 없다. 다만 그 길을 얼마나 열심히 보고 얼마나 열심히 사랑했느냐에 있다.

광장은 대중의 밀실이며 밀실은 개인의 광장이다. 인간을 이 2가지 공간의 어느 한쪽에 가두어 버릴 때 그는 살 수 없다. 그럴 때 광장에 폭동의 피가 흐르고 밀실에서 광란의 부르짖음이 새어 나온다.

우리는 분수가 터지고 밝은 햇빛 아래 뭇 꽃이 피고 영웅과 신들의 동상으로 치장이 된 광장에서 바다처럼 우람한 합창에 한 몫 끼기를 원하며 그와 똑같은 진실로 개인의 일기장과, 저녁에 벗어 놓은 채 새벽에 잊고 간 애인의 장갑이 얹힌 침대에 걸터앉아서 광장을 잊어 버릴 수 있는 시간을 원한다.”

by 해피의서재 2024. 2. 5. 21:4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