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4월

5월

그리고 6월

달마다 지역 미술가들이 일정 기간 동안 개인 작품을 도서관 로비에 전시한다고 한다. 전시와 연계된 강좌도 병행한다고.


6월에도 역시 미술 강좌 프로그램이 계획되어 있다.


5월에는 그림책 내용을 소재로 제작된 인형과 소품을 원작 책과 함께 전시하는 이벤트도 있었다.


도서관의 변신은, 무죄다.

'그리고 또다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적인 순간  (0) 2024.10.11
미술관 in 도서관  (0) 2024.08.24
이것은 거대한 배신  (1) 2023.07.17
유시민의 일언에 부쳐  (0) 2022.09.19
봄, 목포의 하늘에서.  (0) 2022.04.08
삶이란  (0) 2022.03.22
by 해피의서재 2023. 6. 9. 08:50

전주시에는 다양한 형태의 도서관들을 관광자원으로 묶어 예약을 받아 투어를 도는 ‘전주 도서관 여행’이 운영되고 있다.
2022년 도서관 여행을 갈무리하는 영상이 지난 연말 유튜브에 올라왔다.

https://youtu.be/8686AppNgAQ

올해(2023년) 전주 도서관 여행은 아래와 같이 운영된다. 관심있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듯하다.

원본 페이지 : https://lib.jeonju.go.kr/index.jeonju?menuCd=DOM_000000104006001000

by 해피의서재 2023. 3. 26. 09:54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 돌베개 / 2011(초판), 2017(개정판)


2011년 초판되어 많은 사랑을 받은 후 다시 2017년에 개정판이 출간된 유시민의 ‘국가학개론’.

국가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입을 여는 이 책은 ‘힘으로 대내외 치안을 통제한다’에 방점을 둔 국가주의와 ‘국가 내부 거주자의 모든 자유를 보장한다’에 방점을 둔 자유주의 국가관을 먼저 설명한다. 뒤이어 ‘억압받는 자에게 국가 따윈 무의미하다’는 취지의 마르크스주의와 여기서 파생되는 국가에 대한 냉소주의에 대해서도 논한다. <월든>으로 유명한 조지 데이비스 소로의 ‘시민 불복종’에 대한 언급도 등장한다.

저자는 앞서 논한 여러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 국가와 정치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점들을 피력한다. 수많은 분쟁과 유혈사태를 거치며 확립된 현대 국가의 의무사항을 현 대한민국 헌법을 읽어내려가며 설파하고, 무턱대고 신념만을 내세우며 무리하고 독선적인 행보를 보이기보다 정치행위의 결과를 중시하는 책임윤리를 견지할 것을 정치 지도자에게 요구한다. 이때 반면교사로 제시된 사례가 독일의 바이마르 공화국이다.

스스로를 ‘진보자유주의자’라 칭하는 저자는 오늘날의 대한민국 정치인과 시민들에게 ‘국가다운 국가 만들기’를 위해 다음을 요구한다. 정치인에게는 법을 제 도구처럼 휘두르지 말고 법이 명시한 권한 한도에서 책임있게 정치활동을 하며 정직하게 시민과 소통할 것을, 시민에게는 자기 자신은 물론 동료 시민에게도 동등한 존엄성이 있음을 인정하고 시대에 늘 깨어 있으며 기꺼이 타인과 연대하여 행동할 것을 말이다.

by 해피의서재 2022. 12. 31.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