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달과 6펜스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2.06.09 난 차라리 아무도 이해하지 않으련다 : 서머셋 몸의 《달과 6펜스》
달과 6펜스 / 서머셋 몸 / 민음사 / 2000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쓰여진 이 소설은 마치 한 편의 전기(傳記) 같았다. 왠지 한자로 쓸 때 傳記 말고 傳奇라고 써야 할 것만 같다. ‘찰스 스트릭랜드’라는, 천재 혹은 소시오패스(!) 화가의 일대기. 남의 감정 하나 전혀 살필 줄 모르고, 남의 고통에 무감각하고, 안정된 직장과 안락한 가정을 버리고 험한 밑바닥 인생 속을 뒹굴면서도 그게 힘든지 어떤지 아무 느낌도 없는 듯한, 차라리 사람이 아닌 목석에 가까워 보이는 이 사내. 그의 행적은 기묘함의 연속이다.
처음 《달과 6펜스》라는 제목을 들었을 때 왠지 참 낭만적으로 들렸다.
'타히티의 화가' 폴 고갱을 모델로 했다는 점도 그렇고 꿈(달)과 현실(6펜스)을 나란히 병치시킨 제목도 그렇고
처음 내가 이 책에 대해 떠올렸던 이미지는 '닿을 수 없는 꿈과 비루한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고 고뇌하는 슬픈 화가의 이야기'였다.
그런데 막상 책을 직접 읽어 보니 내가 떠올렸던 낭만적인 느낌은 없었다.
책의 막판에 나오는, 주인공이 눈이 멀어버린 상태에서 마지막 힘을 쏟아내 자기 집의 내벽에 그린 천재적인 걸작 이야기와
그 걸작을 자신의 죽음과 함께 불살라 버리라고 했다는 유언에서 강렬한 전율을 느끼기는 했지만.
소설의 주인공인 '찰스 스트릭랜드'는 이 사람 소시오패스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다른 사람의 배려 혹은 고통에 무관심하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멀쩡한 직장과 가정을 버리고 파리로 떠나는 것까지는 그렇다 쳐도
(이 과정에서 그는 남겨진 가족을 위해 아무것도 남겨 놓지 않는다.
작중 나레이터인 '나'가 '가족은 어떻게 살라고 그러느냐'고 묻자 '자기 능력으로 살라고 해라'고 무심하게 말한다)
그곳에서 자신의 천재성을 알아봐 주고 열심히 생활을 돌봐 주는 동료 화가의 결혼생활을 완전히 망쳐 버리고 그 아내까지 자살로 몰아가는 이 자는
차라리 남의 이해와 관심을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으로까지 보이기도 한다.
남의 사정에 무심한 것 못지 않게 자기 자신에게도 한없이 무심하다.
외모 가꾸기는 고사하고 옷도 제대로 빨아입지 않고 한없이 누추하고 더러운 집도 전혀 개의치 않는다. 굶는 일이 예사요 심지어 열병으로 다 죽어가는 와중에도 자신의 상태에 아무 관심이 없어 보인다. 보다못한 동료 화가가 자기 집으로 데려가려 하자 무조건 욕부터 하고 본다. 타히티로 떠나기 직전 부두의 일용노동자로 구르고 급식소에서 나눠 주는 한 덩이 빵으로 연명하면서도 아무런 괴로움이나 서러움을 느끼지 않는다. 아예 감정이 없는 사람 같아 보이기도 한다. 아니 그냥 영혼은 어디론가 날아가 버리고 이 사람의 허깨비만 부둣가에서 좀비처럼 휘적휘적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현실이 비루한 것까진 맞는데 그 현실에 굳이 크게 무게를 두는 것 같지를 않다. 그냥 무표정하게, 무감각하게 그 현실 속을 살아갈 뿐.
책은 반 고흐의 일생 같은 아프고도 처연한 예술혼의 이야기를 기대했던 나를 지극히 당황하게 만드는 캐릭터와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었다.
소설의 화자인 '나'는 찰스 스트릭랜드의 가까운 지인도 아니고 사실 그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지도 못한다. 젊은 시절 우연히 스트릭랜드 부인을 알게 되면서 자연스레 찰스 스트릭랜드와 인연이 이어졌고 잠시 파리로 그를 찾아가 몇 번 대화를 나누고 그가 동료 화가 부부를 파탄으로 몰아가는 것까지 지켜봤을 뿐 그 후로 그가 어디서 어떻게 살다가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해선 숫제 다른 사람의 말을 통해 알게 된다. 파편적인 정보들을 가지고 한 사람의 일대기를 쓴 듯한 스타일 덕에 이 소설은 소설이 아니라 마치 실제 있었던 사람에 대한 객관적인 전기처럼 느껴진다. (실존하는 전기처럼 보이려고 한 작가의 의도는 성공한 것 같다)
하지만 그만큼 독자에게 불친절한 소설이기도 하다. 또는 그만큼 '찰스 스트릭랜드'에 대해 독자 스스로 판단할 여지를 많이 남겨 놓았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왜 그토록 주위에게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잔인할 정도로 무심했는가? 그는 무엇 때문에 느닷없이 나이 40에 모든 것을 버리고 밑바닥 인생을 전전하다가 머나먼 태평양의 타히티까지 가야 했는가? 타히티에서 그는 그가 찾아 헤매던 것을 결국 보았는가? 나병과 실명의 고통 속에서 고독하게 죽어가면서도 집안에 마지막으로 그림을 남길 때 그는 어떤 심정이었을까?
흥미로운 건 등장인물 중 비단 찰스 스트릭랜드만 난해한 게 아니라는 점이다. 다른 인물들도 이해하기 힘든 구석이 참 많다. 파리에서 그를 돕다가 그 때문에 인생이 엉망이 되어 버린 스트로브도 이해불가이긴 마찬가지다. 기껏 도와 줘도 좋은 말 한 마디 못 듣고 종국에는 그에게 아내까지 빼앗기고 집까지 내주고 만다. 집을 내주는 이유도 웃기는데 '아내가 그 누추하기 짝이 없는 스트릭랜드의 집으로 들어가는 건 견딜 수 없기 때문'이었단다. 후에 스트로브의 아내 블란치가 스트릭랜드의 변심(?)에 절망하여 자살했을 때도 그는 스트릭랜드가 그려 놓은 블란치의 누드화를 보고는 모든 증오와 분노를 내려놓고 고향으로 떠나기로 결심해 버린다. 그림에서 천재의 걸작을 보았다나. 이 이해할 수 없는 생각과 행동들은 대체 다 뭐란 말인가. 그 역시 예술가였기 때문이어서일까. 사람이 예술이란 유령에 사로잡히면 다들 그렇게 되는지?
그렇다고 예술가들만이 이해할 수 없는 인물들인 건 아닌 것 같다. 소설 속에 잠시 스쳐가는 인물들 중에도 그런 이들이 있다. 영국의 저명한 병원에서 창창하게 잘나갈 수 있었던 의사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매력에 반해 모든 것을 버리고 그곳에 안착하여 행복하게 산다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알렉산드리아에 정착한 의사가 버린 자리를 대신 차지한 다른 의사는 그에 대한 연민 혹은 조롱을 작중 화자인 '나'에게 털어놓지만 '나'는 그 이야기를 들으며 의아함을 느낀다. '자기가 바라는 일을 한다는 것, 자기가 좋아하는 조건에서 마음 편히 산다는 것, 그것이 인생을 망치는 일일까'(p. 259)라고.
다같은 사람들인데, 같은 하늘 아래 같은 환경에서 비슷비슷한 과정을 거쳐 성장하고 사는데, 세상에는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다르게 사는 사람들이 참 너무도 많고, 그들을 이해하는 것은 더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사람들마다 저마다의 세계가 있고, 저마다의 영혼을 붙잡고 있는 전혀 다른 제각각의 무언가를 다 가지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개중에는 찰스 스트릭랜드처럼 보이지 않는 어느 한 가지에, 오직 그 한 가지에 몰입한 나머지 주변의 모든 것을 허깨비로 만들어 버리고 심지어는 자신의 상태도 돌아보지 않는 무아지경으로 가 버린 이들도 있을지 모른다. 어쨌든 세상은 넓고 이해할 수 없는 것 역시 너무도 많다.
"사람은 누구나 세상에서 홀로이다. 각자가 일종의 구리 탑에 갇혀 신호로만 다른 이들과 교신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신호들이 공통된 의미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그 뜻은 모호하고 불확실하기만 하다. 우리는 마음 속에 품은 소중한 생각을 다른 이들에게 전하려고 안타까이 애쓰지만 다른 이들은 그것을 받아들일 힘이 없다. 그래서 우리는 나란히 살고 있으면서도, 나는 남을 이해하지 못하고 남도 나를 이해하지 못한 채로 함께 어울리지 못하고 외롭게 살아갈 수밖에 없다." (p. 211)
스트릭랜드는 일찌감치 이 사실을 알고, 그랬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도, 자신도, 자신의 세계에서 배제시켜 버리고 자신이 찾았고 보았던 그 한 가지에만 자신의 시선을 고정하고 살았던 것일까. 생각이 여기에 이르자 새삼 그의 삶이 갑자기 처절한 비극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낭만은 없지만 건조해서 더 아린 핏빛 비극.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고자 하고 남이 찾지 않는 것을 찾아 헤매는 데 일생을 던지고 자신의 영혼을 자기만의 심해 속으로 수장시킨, 그래서 결국 누구와도 소통할 수 없었던, 아니 처음부터 누군가와 소통할 생각조차도 아예 하지 않았던 비극적인 천재의 이야기.
아니, 이마저도 그의 내면을 이해 못한 제3자의 시선으로 본 결과물에 불과하다.
몸은 썩고 눈은 멀었어도 세상과 격리된 자신의 오두막 벽에 태초의 풍경을 완성하고, 그 풍경을 자신의 죽음과 함께 불살라 버리라고 말하던 그 순간에 그는 도리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었을지 모른다.
그래, 난 차라리 아무도 이해하지 않으련다. 비단 예술가뿐만 아니라, 사람은 끝내 누구도 오롯이 이해할 수 없고 누구에게도 오롯이 이해받을 수 없는 존재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저 깊은 밤 전전반측하며 스트릭랜드가 최후에 보고 그린 것이 무엇일지를 속절없이 상상하는 것뿐이다.
2013년의 대한민국을 예측하다 : 트렌드 코리아 2013 (0) | 2013.03.01 |
---|---|
우리가 철학을 읽어야 하는 이유 : 강신주의『철학이 필요한 시간』 (0) | 2013.01.01 |
이스탄불로부터의 선물 (0) | 2012.12.25 |
김화영의『어린 왕자를 찾아서』에서 만난 생택쥐베리 (0) | 2012.05.19 |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 (0) | 2012.05.09 |
《세계사의 운명을 바꾼 해도》 (0) | 2012.04.1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