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 박웅현 / 북하우스 / 2011


저자는 말한다. ‘책은 마음 속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라고. 단단히 굳어 있는 마음의 바다를 깨어 다시 찰랑이게 만드는 데서 창의성이 다시 솟아나 넘실거리고, 그 힘으로 세상을 보는 눈이 다시 뜨이게 되며, 다시 뜨인 눈을 통해 인생의 풍요와 행복을 새삼 발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그리고 그 가장 강력한 무기가 바로 책이라고.

 

저자는 흔히 말하는 다독가는 아니라고 스스로 평한다. 대신 한 권을 읽어도 깊이있게 읽는다고 자부한다. (그래도 한 달에 서너 권씩 읽을 정도면 독서량 면에서도 꽤 괜찮은 스코어 같다) 아울러 그는 다독 콤플렉스를 버리라고 충고한다. 독서량에 매몰되면 쉽고 빨리 읽히는 얇은 책만 찾게 된다고. ‘인생에 울림이 있는 책을 얼마나 만났느냐가 더 중요하지 숫자는 중요치 않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나 역시 그 말이 옳다고 생각한다.

 

한 권을 읽어도 꼼꼼하고 세심하게 책의 가장 깊은 정수까지 흡수한 덕택인지, 그가 지금까지 읽어온 여러 책을 한 강의에 한데 버무려 자연스럽게 넘나드는 그의 언변은 물흐르듯 거침이 없다. 하나의 강연 안에 이철수의 판화(미술), 김훈의 산문과 최인훈의 <광장>(문학), 불가의 선문(종교),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등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함께 공존한다. 얼마나 다양하게, 또 깊이있게 책을 읽으면 이런 강연이 나오는 걸까. 8회에 걸친 강독회 원고를 고스란히 글로 옮긴 책의 특성 때문인지 책을 펼치면 마치 강연 실황을 녹음한 것을 귀로 듣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나는 정말로 어느 대학 강단에서 강의를 들으며 노트 필기하듯 이 책을 읽었다.

 

프롤로그격인 시작은 울림이다편을 시작으로, 김훈의 지극히 사실적인 글들을 통해 보는 세밀한 관찰의 힘, 알랭 드 보통의 소설 혹은 인생사 연구 보고서’, 지중해를 배경으로 한 문학작품들이 그린 지중해 특유의 실존적이자 현세지향적인 내면 의식,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안나 카레니나>를 통한 인간에 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박웅현은 다방면의 책들을 편안하고도 흥미롭게 독자에게 소개하며 그 속에서 얻은 자기 나름대로의 깨달음을 설파한다.

 

그의 이야기를 대충 요약하면 현재를 살아라, 주위를 늘 관찰하라, 행복은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발견하는 것이다,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실제적인 것에 충실하라정도가 될 듯하다. 방대하다면 방대한 스케일에, 고금의 인정을 받은 책들이 대거 등장하고 다양한 인문학적 이야기가 쏟아지는 향연들로 이루어진 책이지만 이리저리 다 정리해서 추리고 나면 정말 저 정도 말이 남는다. 현학적이거나 주관적인 말을 버리고 오직 사실에 입각해서 탁탁 쳐내듯 글을 쓰는 김훈의 문장이나, ‘상대적 궁핍 혹은 궁핍해질지도 모른다는 공포에서 불안이 온다던 알랭 드 보통의 불안에 대한 해석이나, 땅에 발을 디딘 현실적 인문학이 아닌 기계적인 이론만 갖고 사회를 파악하려는 헛똑똑이인물을 등장시키며 그를 비판하는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의 한 대목, 그리고 여자든 꽃이든 지나가던 짐승이든 순간순간 눈에 띄는 모든 것에 경이로워하고 감탄하던 그리스인 조르바 등, 이들의 공통점을 추려 보면 정말로 현재, 실존, 있는 그대로정도로 요약되지 않는가.

 

유홍준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이렇게 썼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것은 예전과 같지 않으리라.’

예전같은 시선에서 벗어나 새로이 세상을 보고 느끼기 위해서는 우선 알아야 한다. 알게 해 주는 매체가 바로 책이다. <책은 도끼다>의 저자가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결국, 책을 통해 세상을 더 많이 알고, 앎으로서 세상을 새로이 바라보고 지금 이 순간 우리가 느끼고 누릴 것이 너무도 많다는 것을 깨닫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경쟁에 파묻혀 사는 팍팍한 삶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삶을 누리는 법을 터득하자는 것이 아니었을까. 실제로도 이 강연집에서, 저자가 내가 이 자리에서 소개하는 책을 여러분도 사 보셨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으니.

 

마지막으로 사족 하나 달자면, 이 책이 만들어진 계기가 된 이 강독이야말로 정말 훌륭한 북토크라는 생각이 들었다. ‘북토크는 문헌정보학, 특히 그 중에서도 독서지도론 쪽에서 나오는 말인데, ‘어떤 일정한 집단을 대상으로 몇 권의 도서를 선정하여 보여주면서 그 도서들과 관련된 흥미롭고 인상에 남을 만한 내용이나 에피소드를 소개하여 그들이 읽고 싶은 충동을 느끼도록 유인하는 책 소개 기술의 하나로, 서평과 소개의 중간 정도라고 볼 수 있는 집단 독서 지도의 한 형태라고 정의되어 있다. (<신독서지도방법론>/손정표/태일사/p.296) 그런데 지금 이 <책은 도끼다>를 읽고 보니, 이 책이 그 자체로 위의 정의와 그대로 맞아 떨어지는 북토크가 아닌가. 실제로 이 책을 통해 나 역시 제목만 알고 있을 뿐 읽지 않았던 책들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대략적인 내용도 알게 되었으며, 나아가 이 책을 직접 읽어야겠다는 마음까지 갖게 되었으니, 과연 박웅현 씨는 실로 훌륭한 북토커(book talker)라 할 것이다.

 

by 해피의서재 2012. 5. 9. 13:41